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줄거리

    하나뿐인 아들동석(이병헌)과 살가운 말 한마디 섞지 못하는 일흔 중반을 옥동(김혜자) 삼춘, 가진 것이라고는 달랑 만물상 트럭 하나와 모난 성깔뿐인 마흔 초반 솔로인 동석(이병헌). 

    남편은 물론 자식 셋을 먼저 보내고 오래 산 게 분명한 죄라는 걸 증명하는 일흔 초반의 춘희(고두심)삼춘.

    하루 이십 시간 생선 대가리를 치고 내장을 걷어내 평생 형제들 뒷바라지만 하고도 기껏 생색낸다는 말을 듣는 오십 줄의 싱글 은희(이정은).

    이혼을 당하고 맨몸으로 고향 제주에 돌아온 선아(신민아), 가난한 집안에서 홀로 잘나 대학을 나왔지만 그래 봤자 월급쟁이 인생에 골프 선수를 꿈꾸는 딸이 있지만 뒷바라지에 허리가 휘고 다리가 꺾인 기러기 아빠 한수(차승원).

    해녀로 물질하며 먹고사는 것은 두려울 것 없지만 무슨 사연인지 누구와도 깊게 사귀려 하지 않는 영옥(한지민)과

    큰 욕심 없이 남들 다 서울 갈 때도 고향 제주와 가족을 지키겠다며 선뜻 배꾼으로 남아 고작 욕심이라고는 사랑하는 여자와 제주 바닷가에서 단둘이 오손도손 소박한 신혼을 꿈꾼 게 전부인데 그 마저도 쉽지 않은 정준(김우빈)에게도,

    이 지긋지긋한 제주와 삼촌들, 아버지에게서 벗어나 서울로 대학 가려다 임신으로 덜컥 발목 잡혀버린 영주(노윤서)와 현이(배현성)에게도,

    자식 잘못 키웠다 욕하는 남들은 그렇다 치고 죽자 사자 키워 놓은 자식에게 마저도 이제부터 내 인생 간섭 마라고 온갖 악담을 듣고 무너지는 아버지들 방호식(최영준)과 정인권(박지환) 은 물론,

    부모 형제 남편 자식에게 까지 맘 적으로 버려지고 오갈 데 없이 죽고 싶은 마음으로 마지막 실오라기 라도 붙잡듯 찾아온 베스트 프랜드 은희(이정은)에게 위로는커녕 상처를 받은 미란(엄정화)과 어느 날 아무 영문도 모르고 엄마와 아빠를 떠나 낯선 제주 할머니 집에 떨궈진 여섯 살 은기(기소유)까지.

    작가는 무너지지 마라, 끝나지 않았다, 살아있다, 행복하라, 응원하고 싶었던 것 같았습니다.

     

    따뜻한 제주, 생동감 넘치는 제주 오일장, 차고 거친 바다를 배경으로 14명의 시고 달고 쓰고 떫은 인생 이야기를 옴니버스라는 압축된 포맷에 서정적이고도 애잔하게, 때로는 신나고 시원하게 전하려 했습니다. 

    여러 편의 영화를 이어 보는 것 같은 재미에, 뭉클한 감동까지 더할 나위 없는 우리들 일상을 그린 드라마입니다.

     

    평가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들이 대사를 제주 방언으로 연기하고 방언에 대한 해석을 자막으로 내보내는 독특한 연출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다만 기존에 쓰이던 방식이 아닌지라 꽤 많이 호불호가 갈렸다고 합니다. 

    또 이전까지의 작품들은 외부인 관점에서 제주의 상투적인 모습을 그려왔다면 우리들의 블루스는 왜곡되지 않은 제주도민의 삶과 문화를 조금이나마 반영하였습니다. 주 배경이 된 푸릉리는 대정읍 무릉리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나 실제 주된 배경은 한림읍 금능리였습니다. 하지만 모슬포, 송악산 등 이곳저곳으로 배경이 자주 바뀌고, 뜬금없이 제주 시내, 혹은 전혀 반대 방향인 해변이 나오는 등 장소가 조금 일률적이지 않아서 헷갈린다는 평가들도 있었습니다.

    이 드라마는 여러 캐릭터의 입체성이 두드려집니다. 애초에 옴니버스 형식의 드라마는 한국에서는 그다지 선호되는 방식이 아니었고, 성공 가능성 역시 희박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드라마는 생동감 있는 여러 캐릭터들이 제각기 스토리의 독립성을 가지며 극을 이끌어나가고 때로는 다른 스토리에 약방의 감초처럼 등장하면서 자칫 지루해지거나 복잡해질 수 있는 스토리를 굉장히 셈세하고 정갈하게 풀어냈으며 제주도라는 배경에 영상미까지 플러스되어 마치 영화를 보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또한 노희경 작가님의 작품답게 마지막 회까지 결방 없이 깔끔하게 마무리되어 시청자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습니다.

     

    드라마 화제성

    스토리나 연출과는 별개로 이병헌, 김혜자, 고두심, 신민아, 차승원, 이정은, 한지민, 김우빈, 엄정화 등의 캐스팅으로 방영 전부터 상당한 화제를 모았습니다. 어떻게 저 배우들을 한 자리에 다 모았나 싶을 정도로 캐스팅이 역대급이긴 합니다.

    물론 대놓고 호화 캐스팅으로 어필한 작품이라고 해도 막상 부실한 내용과 연출로 출연진들의 필모그래피에 크게 먹칠하는 경우가 은근히 많은 반면, 이 드라마는 에피소드에 따라 조금씩 호불호가 갈리는 편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스토리와 연출에 대한 평가가 대체로 좋은 편이고 시청률 또한 잘 나왔습니다.

    그리고 이 드라마의 가장 주목할 점은 장애에 대한 작가의 해석입니다. 청각장애인 배우 이소별과 다운증후군 작가 정은혜는 본인들이 당사자로서 직접 연기했는데 다큐가 아닌 드라마 창작물에 실제 장애인이 출연한 것은 한국 콘텐츠 사상 유일하다고 봐야 합니다. 사실 그간 장애인도 똑같은 사회 구성원이 아니라 보면 눈물짓고, 연민하고, 불쌍하게 봐야 하는 존재로 그려졌던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똑같이 생활하면서도 다른 방법으로 소통하는 여러 장면들과 주요 에피소드를 통해 보여 줬습니다. 무엇보다 장애인을 바라보던 비장애인 중심적 사회의 시각이 그동안 얼마나 잘못되었는가를 꼬집는 대목도 등장합니다. 이렇듯 장애인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바라보고 존중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준 에피소드에서는 장애인을 키운 부모님들의 많은 공감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우울증입니다. 그간 오랫동안 한국 매체에서는 갈등의 주요 원인, 사이코패스에 가깝거나 또는 캐릭터가 사회생활이 불가능한 상태로 왜곡한 캐릭터들이 많았습니다. 그렇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신민아가 이혼을 하고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지만, 충분히 일상생활을 하면서 사람을 통해 이겨내려 노력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겪는 증상은 다르지만 극복 못할 것도 아니라는 것을 작가가 표현하고 싶었다 생각합니다.

    반응형